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경 알아야 속지 않는다/콘택트렌즈에대해서5

하드렌즈 잘맞는 사람은 따로 있다. 하드렌즈 사용하고 있거나 하드렌즈를 사용하려고 준비하는 분들 계신가요?하드렌즈 너무 비싸서 쉽게 접근하려니 부담되고 그러실겁니다. 하드렌즈가 나에게 맞을지, 하드렌즈는 과연 어떤사람이 구매해야 하는지 궁금했던적 있으시죠? 하드렌즈를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가첫번째, 눈건강 입니다. 하드렌즈는 산소투과성, 눈물순환이 거의 100프로게 가깝기 때문에 소프트렌즈하고는 비교가 불가능합니다. 왜 하드렌즈는 산소투과성 눈물순환이 우수할까요? 그건 바로 하드렌즈는 눈물층 위에 떠있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소프트렌즈는 각막에 붙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산소투과성이니 표면마찰력이니 하며 제품의 장점 단점을 이야기 하는데.... 하드렌즈는 그냥 공중에 떠있는 구조라서 그런말이 필요없고 눈건강에 가장 유리한 렌즈이기 때문이죠...
콘택트렌즈 난시교정을 하지 않으면 시력이 나빠질까? 일회용 콘택트렌즈뿐만 아니라 장기착용 콘택트렌즈에는 근시와 난시교정렌즈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단순한 시력이상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한 도수범위가 필요합니다. 안경렌즈도 마찬가지이고요. 안경은 근시와 난시를 정확하게 교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콘택트렌즈는 제품별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투명콘택트렌즈는 장기착용이든 일회용렌즈든 난시교정이 가능한 제품들이 세밀한 범위로 구매가능합니다. 하지만 컬러렌즈부터는 그 폭이 매우 좁아지게 되죠. 그만큼 난시도수를 포함한 제품의 재고생산 및 관리가 콘택트렌즈 업체에서는 큰 부담이 된다고 봐야 합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이 난시의 정도에 따라 콘택트렌즈 도수를 선택할 수 있는지 꼭 난시를 교정해야만 하는 것인지 그리고 교정하지 않으면 시력이 나..
원데이 일회용 콘택트렌즈 가격파괴 문제 경기가 좋지 않으면 여러 업종에서 가격파괴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점포정리라고 현수막을 걸고 호객행위를 하죠. 가격파괴와 점포정리는 소비자를 현혹하는 오래된 마케팅 방법입니다. 물론 거기서 좋은 제품을 좋은 가격에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원리상 좋은 제품을 싸게 살 수 있는 방법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콘택트렌즈 가격파괴 이유 아주 오래전에 서울 경기권의 작은체인에서 시작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주위 안경원에서 난리가 났었죠. 하지만 자율경쟁 시대에 어쩔 수 없이 바라만 봐야 했습니다. 하지만 장사꾼들이 그냥 보고만 있겠습니까? 너도 나도 콘택트렌즈 할인경쟁에 동참하게 되었죠. 안경업의 콘택트렌즈 가격은 빠른 속도로 파괴되었고 전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한번 내린 가격은 다시 올릴 수 없..
일회용 원데이 콘택트렌즈 가격이 안경원을 망하게 한다 일회용 렌즈의 사용자들은 정말 많습니다. 원데이 콘택트렌즈 시장도 많이 커졌고앞으로도 커져가며 사용자는 늘어가는데 안경원에서 판매되는 원데이 콘택트렌즈의 판매 가격은 비정상적이라고 할 정도입니다. 소비자들은 안경원에서 판매하고 있는 일회용 콘택트렌즈의 가격이 어떤 상황인지 알고 있을까요? 일회용 콘택트렌즈의 '소비자가' 와 '판매가'의 비정상적인 갭 원데이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고 계시는 여러분들은 소비자가가 얼마인지 혹시 알고계신가요? 대부분의 구매자들은 소비자가보다 할인된 가격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흔히 알고 있는 아큐브, 알콘, 인터로조, 바슈롬과 같은 글로벌 기업의 원데이 렌즈를 많이들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소비자가가 약4~5만 원 선이며 제품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1팩 *30p..
반응형